서버를 만들고 외부사용자의 로그인을 허락해요!

  1. 우선 nCloud에서 서버를 만든다.

  2. 서버 생성이 완료 되면, 인증 키를 받고 관리자 비밀번호를 알아낸다.

  3. ACG(Access Control Group) 설정을 해준다.

    ACG 설정을 클릭한 후, 허용하려는 IP와 포트번호를 적어준다.

    나는 팀원들이 접근을 해야됐기 때문에 0.0.0.0/0(전체)로 했고, 허용포트는 우리가 사용하는 포트 번호들로 지정해줬다.

  4. 서버로 돌아가서 포트포워딩을 통해 외부 포트를 하나 열어주자.

  5. putty나 window terminal을 이용해 해당 서버의 공인 IP로 접속을 해보자.

ssh root@공인아이피주소 -p 포트번호
//비밀번호는 2에서 얻어낸 관리자 비밀번호를 적으면 된다.
  1. 접속이 완료되었다면, 우리는 지금 root로 들어와있는 것이다. 사용자를 하나 더 만들어서 팀원의 접속을 허용해주자.
//사용자를 추가함
adduser 사용자명
/*
Adding user `test' ...
Adding new group `test' (1003) ...
Adding new user `test' (1002) with group `test' ...
Creating home directory `/home/test' ...
Copying files from `/etc/skel' ...
*/

//adduser를 통해 만들어진 유저 목록을 봄
grep /bin/bash /etc/passwd

//유저에게 권한을 줌
usermod -aG sudo 사용자명

//만약 잘못 만들었다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삭제할 수 있다.
deluser test
/*
Removing user `test' ...
Warning: group `test' has no more members.
Done.
*/
  1. 생성한 유저의 홈 디렉토리를 확인하고 (/home/boostris), 여기서 .ssh directory를 만들어주고 authorized_keys파일에 ssh 키를 넣어준다.
ssh 사용자명@공인아이피주소 -p 포트번호
mkdir .ssh
cd .ssh
vim authorized_keys
//키 작성
sudo service ssh restart
  1. 공인 IP를 하나 발급 받는다.

    서버 접속용 공인 IP와는 다르다!

참고로 ssh 접속에서 나가고 싶으면 exit라고 적어주면 된다.